당연컨데 스페인 최고 또는 명품 와이너리라 하면 베가 시실리아를 떠올릴 수 있다 스페인의 로마에 꽁디라 불리기도 한다 양조법 또한 특별하다 포도는 당연히 손수확하며 수확이후 그해의 빈티지에 따라 오크통 또한 직접 포도에 맞게 제작하여 사용한다 또한 코르크 또한 심여를 기울여 선택하고 10여년 전엔 미래를 보고 직접 코르크를 생산하기위해 코르크 참나무 3만 그루를 심는 등 와인의 모든 부분에서 최선을 다한다. 발부에나는 베가 시실리아의 캐릭터를 잘 표현하면서 조금 편안하게 마실 수 있도록 생산하는 와인이며 야생 딸기 블루베리 민트 타임등 아로마의 스펙트럼이 넓은 편이며 2년 가까이 오크 숙성을 거쳐 타닌의 텍스쳐가 정말 부드러우며 베가 시실리아를 잘 표현해낸다
1848년 바스크 출신의 토리비오 레칸다가 스페인 리베라 델 두에로 지역의 2천 헥타르의 부지를 매입하며 시작된 베가 시실리아는 이후 보르도에서 18,000그루의 포도나무 묘목을 들여와 브랜디를 만들어 스페인 왕실에 납품하면서 이 부지는 스페인에서 유명해지기 시작했다. 야생딸기, 라스베리, 멀버리 등 진한 과일의 농축된 맛과 향에 말린 허브와 시가 박스의 우아 한 향이 함께 느껴진다. 끝 맛에서 붉은 과일의 풍부한 맛과 함께 담배 잎 향, 스파이시한 여운 이 입안에 길게 남으며, 농도 짙은 탄닌의 풀 바디한 맛과 균형감 있는 산미를 지녀 숙성 잠 재력을 보여주는 와인.
후안길 와이너리에서 운영하는것으로도 유명한 보데가스 아딸라야에서 만들어진 와인으로 스페인 현지에서도 잘 알려지지 않은 알만사에 위치해있다 창립자는 자신이 이곳에서 나오는 모네스트렐을 사랑한다는 이유로 이곳에 위치하여 전세계 사람들에게 그 이유를 와인으로 표현하고있다 검붉은 과실향과 미네랄향이 아주 인상적이며 아주 부드럽게 살짝 다가오는 숙성감이 매력적이다 묵직한 바디감과 안정적인 산미가 인상적인 와인이다
킹핀은 국내에서 가성비가 좋다고 잘 알려진 와이너리 들과 함께 이름을 알리고 있는 데일리 와인으로 가격대비 고퀄리티의 품질을 갖고 있다고 입소문에 오르고 있다 화이트는 샤르도네, 쇼비뇽 블랑, 베르데호가 블렌딩 되어 파인애플을 비롯해 잘 익은 살구, 레몬 등의 과실향과 오크 터치가 조화로워 입문용 혹은 테이블 와인으로 먹기 적합한 재구매율 높은 와이너리의 화이트 와인이다
간치아는 1850년부터 가족 승계로만 이어진 유서 깊은 와이너리이자 뛰어난 퀄리티의 와인을 사랑하는 소비자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이태리와인, 특히 스파클링 와인과 아페리티프 와인의 세계적인 거장으로 인식 되는 것이 간치아의 목표이다. 왕실과 로얄 패밀리의 꾸준한 사랑을 받아온 간치아의 모스카토 다스티는 연한 골드 옐로우컬러에 향긋한 플로랄 계열의 향들과 오렌지, 달콤한 허니향이 섬세하게 펼쳐지며 섬세하고 달콤한 아로마가 상쾌하고 기분좋은 미감으로 마무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