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5대 샤또로 불리는 보르도 그랑크루 클라쎄 1등급에 속한 사또 오브리옹은 유일한 메독이 아닌 그라브 지역의 와이너리로 영국인들이 가장 사랑한 보르도 와인으로 유명하다. 메독에 위치한 여타 샤또들과 떼루아가 다르기 때문에 흙내음, 담배잎, 건초 향이 특징인 보르도 특급 와인.
그랑 크뤼 클라세 1등급이자 흔히 5대 샤또 중 하나로 불리는 샤또 무똥 로칠드는 그랑 크뤼 클라세 역사상 유일무이의 등급 격상 와이너리로 와인을 잘 모르는 사람들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별다른 수식어가 필요없는 현존 최고의 와이너리 중 하나이다. 매년 바뀌는 레이블은 당대 최고의 예술가들과의 협업으로 유명하며 구하기 힘들지만 와인 컬렉터들에겐 1순위로 꼽히는 와인이다. 입 안에선 집중되고 둥글려진 실키한 타닌이 가득 느껴지며, 검은 과실, 코코아, 비스킷 등의 풍미가 빈틈없이 입안을 가득 채운다.
샤또 파비는 프랑스 보르도 생테밀리옹 지역의 역사 깊은 와이너리다. 1998년 제라드 페르스가 인수한 뒤 현대화를 거쳐 품질이 크게 향상되었고, 2012년 생테밀리옹 그랑 크뤼 클라세 A 등급에 선정되며 이 지역 최고의 와이너리로 인정받았다. 주로 메를로, 카베르네 프랑, 카베르네 소비뇽 품종을 블렌딩하며, 풍부한 풍미와 부드러운 타닌, 25년 이상 장기 숙성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샤또 오존과 함께 이 지역의 TOP2 생산자.
루체 델라 비테는 역사와 전통을 가진 이탈리아 토스카나의 프레스코발디와 첨단 와인 양조 기술을 내세운 미국 나파 밸리의 로버트 몬다비가 함께 1993년에 설립된 조인트 벤쳐 와이너리이다. 역사, 문화, 토양, 헌신적인 인간의 노력과 진보한 과학 기술이 결합하여, 수퍼 투스칸 와인인 루체는 힘과 섬세함을 동시에 갖추며 깊은 루비색으로 잘 익은 과실의 풍요롭고 미묘한 향 바닐라 향,나무의 달콤한 향과 나무 딸기와 블랙 커런트 향을 느낄 수 있으며 탄닌은 매우 정교하며 입 안에 착착 달라붙는 촉감을 자랑하며 병속에서 숙성시 미묘함이 지속적으로 발전한다.
그랑 크루 클라세 2등급이자 슈퍼 세컨드 와인인 3개의 레오빌 시리즈 와인중 하나인 샤또 레오빌 푸아페레는 레오빌 소재 와이너리가 수차례 분할 되면서 생겨났다. 여러 곳에 산재한 밭으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토양은 비교적 균질하다는 점이 특징이며 한때 대한항공 퍼스트 클래스에서 서비스 되는 와인으로 유명하다. 짙은 보라색을 띠며 약간 탄 오크, 드라이 허브, 흙의 향을 느낄 수 있으며 강건하지만 부드러운 맛을 지니고 있는 와인이다.
샤또 뽕떼 까네는 그랑 크뤼 클라셰 5등급 와인이지만 품질과 퀄리티가 높아 2등급 와인보다 더 인정받는 와이너리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는 와이너리입니다. 5등급의 일반적인 와인들에 비해 가격은 높지만 높은 퀄리티와 함께 매력적인 와인이다보니 보르도 좌안이 궁금하다면 좋은 경험을 할 수 있는 매력적인 와인!
로버트 파커가 이탈리아 최고의 와이너리 중 하나로 소개하며 400년이 넘는 역사와 전통의 아르지아노는 최초의 26개 브루넬로 협회원 중 하나다. 토스카나 방언으로 '고독한 멧돼지'라는 뜻으로 사시까이아의 양조자였던 자코모 타키스가 몬탈치노 지역에서 처음 양조한 기념비적인 슈퍼 투스칸으로 다크체리와 블랙베리를 필두로 복합적인 아로마와 풀바디지만 매우 부드러운 탄닌과 길게 이어지는 피니쉬를 갖춘 와인이다.
그랑 크뤼 클라쎄 2등급에 해당하는 샤또 뒤포르 비방은 12세기 프랑스 남서부 지역의 명문가에 의해 설립된 후 수 세기동안 여러 대를 통해 메독 와인만의 독특한 특징이 잘 표현되는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보르도에서 가장 유서깊은 샤또 중 하나로 어두운 레드 컬러와 풍부한 스타일과 구조를 지녔다. 부드러운 타닌과 오크향, 붉은 과일 향이 느껴지는 와인.
그랑크뤼 5등급의 벨그라브는 태양왕 루이 14세의 사냥터로 세워진 와이너리로 메독 지역에서도 가장 오래된 와인 중에 하나이다. 신의 물방울에서 <샐러리맨의 라뚜르>로 소개 되었고 세계적인 와인양조가 미셸 롤랑의 컨설팅과 최첨단 양조 기술의 사용을 통해 와인 품질이 향상되었다.
비노블 마르셀 쁘띠 와이너리는 쌩떼밀리옹과 까스띠용 꼬뜨 드 보르도 두 지역에 위치한 총 22헥타르의 포도밭을 관리하고 있고 쌩떼밀리옹에 위치한 포도밭은 그랑크뤼 등급으로 샤또 프랑과 엄블리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엄블리 와인은 고급스러운 와인으로 과실의 풍부함이 뛰어나며 입 안에서의 우아한 탄닌이 매력적인 와인이다.
샤또 꼬스 라보리는 오랜 역사와 분류, 고품질 와인 생산에 대한 헌신은 보르도 지역의 존경받는 유산 중 하나로 기여했으며, 코스\"라는 이름은 생트로페의 특징인 언덕 꼭대기나 언덕을 가리키는 \"코\"에서 유래되었다. 검은 과실의 풍미와 다크 초콜릿, 감초, 스모키한 자두향의 아로마를 선사하며, 오크와 담배, 가죽, 허브의 풍미가 뒤따르며 강건한 타닌과 함께 환실한 존재감을 보여준다. 단단하고 강건한 전형적인 생떼스테프 풀바디 와인의 특징을 고스란히 담은 와인
그랑 크뤼 5등급의 샤또 까망삭은 가성비로 그랑 크뤼 클라쎄를 즐길 수 있는 와인을 생산하며 세계적인 와인 컨설턴트 미셸 롤랑의 도움을 받아 와인의 품질 향상을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고 있다. 검붉은 과실향에 삼나무, 꽃향이 이어지며 바닐라, 가죽의 노트가 느껴지며 바디감과 타닌이 어우러져 전반적으로 무거운듯 하면서도 산미와 드라이감이 밸런스를 맞춰주어 완성도 있으며 신선한 피니쉬로 마무리되는 와인이다.
샤또 라피트 로칠드와 샤또 꼬스데뚜르넬 인접해 위치한 샤또 라퐁 로쉐는 그랑 크뤼 4등급으로 언제나 뛰어나 가성비를 보여주는 보르도 와인. 잘 잡힌 구조감과 부드러운 느낌이 아주 매력적이며 검붉은 과실향이 특징. 부드러운 느낌의 보르도 와인, 그랑 크뤼 입문용으로 강력 추천!
샤또 망고 와인은 1952년 설립된 와이너리로 보르도 생테밀리옹에 위치해 있으며,주로 메를로, 까베르네 프랑, 까베르네 쇼비뇽으로 블렌딩되어 부드러운 맛의 풀바디한 와인이다. 감초, 코코아, 다크 푸르트, 향신료, 삼나무, 신선함과 잘 정제된 타닌이 매력적이다.
보르도 AOC 내 앙트레 뒤 메르에 위치하며 현재 3세대 와인메이커이자 오너인 Patrick Todesco는 각종 상을 휩쓸며 보르도 슈페리에가 보여줄 수 있는 최상의 퀄리티를 표현한다. 프렌치 오크에서 숙성, 검붉은 과실향과 토스트, 바닐라 등의 풍성한 아로마와 함께 부드러운 목넘김을 보여준다.
2020 빈티지: 와인 인수지아스트 96점, 제임스 서클링 94점, 디캔터 93점, 로버트 파커 92점. 보르도 오 메독 지역에 위치한 와이너리로 그랑 크뤼 끌라세 5등급 샤또. 중간 정도 바디감의 풍부한 과실, 약간의 스파이시 향이 매력적. 합리적인 가격대로 만나볼 수 있는 보르도 와인!
이태리 베네토 지방에서 1928년 창설된 카사 비니코라 보떼르는 전통을 기반으로 현대적인 감각과 혁신을 더한 차세대 주자이다. 그랑 피씨오네는 진한 보라빛 루비 레드를 띄며 으깬 블랙 베리, 블랙 체리 등의 농익은 과일향이 진하며 특히 자두와 말린 포도의 향이 매력적이다. 알코올은 단단한 구조감을 선사하며 산도와 탄닌의 밸런스가 훌륭하며 스파이시한 향과 바닐라 향과 입안을 매끄럽게 감싸는 텍스쳐가 긴 여운을 남기는 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