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5대 샤또로 불리는 보르도 그랑크루 클라쎄 1등급에 속한 사또 오브리옹은 유일한 메독이 아닌 그라브 지역의 와이너리로 영국인들이 가장 사랑한 보르도 와인으로 유명하다. 메독에 위치한 여타 샤또들과 떼루아가 다르기 때문에 흙내음, 담배잎, 건초 향이 특징인 보르도 특급 와인.
2020 빈티지, RP 95+점. 그랑 크뤼 5등급임에도 등급이 무색할 정도로 뛰어난 품질로 블루베리, 블랙 커런트향, 검붉은 자두 향을 띄며 입 안에서 풀 바디와 탄탄한 탄닌으로 첫 모금은 부드러우며 프레쉬하고, 우아하며 활력 넘치는 잘 잡힌 밸런스와 함께 깔끔한 피니쉬를 보여주는 보르도 그랑 크뤼 와인!
그랑 크루 클라세 2등급이자 슈퍼 세컨드 와인인 3개의 레오빌 시리즈 와인중 하나인 샤또 레오빌 푸아페레는 레오빌 소재 와이너리가 수차례 분할 되면서 생겨났다. 여러 곳에 산재한 밭으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토양은 비교적 균질하다는 점이 특징이며 한때 대한항공 퍼스트 클래스에서 서비스 되는 와인으로 유명하다. 짙은 보라색을 띠며 약간 탄 오크, 드라이 허브, 흙의 향을 느낄 수 있으며 강건하지만 부드러운 맛을 지니고 있는 와인이다.
그랑 크뤼 클라세 1등급이자 흔히 5대 샤또 중 하나로 불리는 샤또 무똥 로칠드는 그랑 크뤼 클라세 역사상 유일무이의 등급 격상 와이너리로 와인을 잘 모르는 사람들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별다른 수식어가 필요없는 현존 최고의 와이너리 중 하나이다. 매년 바뀌는 레이블은 당대 최고의 예술가들과의 협업으로 유명하며 구하기 힘들지만 와인 컬렉터들에겐 1순위로 꼽히는 와인이다. 입 안에선 집중되고 둥글려진 실키한 타닌이 가득 느껴지며, 검은 과실, 코코아, 비스킷 등의 풍미가 빈틈없이 입안을 가득 채운다.
샤또 라뚜르와 맞닿아 뽀이약이 배출한 걸출한 샤또로 1855년 등급 구분에서는 안타깝게 2등급으로 분류가 되었지만 워낙에 뛰어난 품질로 슈퍼 세컨드라 불리기도 한다. 멀롯이 비율이 높으며 뽀이약의 샤또 마고라 불릴만큼 부드러운 질감이 특징이며 끝없이 이어지는 복합적인 맛이 압권이며 농밀하고 화려한 질감이 매혹적인 보르도 특급 와인!
샤또 앙젤루스 바로 옆에 위치한 밭의 포도로 양조되며 샤또 발랑드로, 라 몽도트와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하며 세 와인은 현재까지도 인정받는 가라지 와인을 대표하는 와이너리다. 와인 컬렉터들의 1순위에 리스팅되는 생테밀리옹 특급 가라지 와인이자 조나단 말터스 와인 중 가장 가격이 높은 싱글 빈야드 와인!
보르도 그랑 크뤼 2등급 샤또 그뤼오 라로즈는 2등급임에도 1등급 못지 않은 퀄리티로 이른바 슈퍼 세컨드로 불리는 와인 중 하나이며, 생줄리앙에서 가장 풀바디하며 장기숙성 능력이 뛰어난 와인으로 손꼽힌다. 탄닌과 농익은 과일이 주는 강렬함의 균형을 추구하며 우아함을 주는 집약된 검은 과일, 삼나무, 감초, 스파이시함이 느껴지는 와인.
루체 델라 비테는 역사와 전통을 가진 이탈리아 토스카나의 프레스코발디와 첨단 와인 양조 기술을 내세운 미국 나파 밸리의 로버트 몬다비가 함께 1993 년에 설립된 조인트 벤쳐 와이너리이다. 역사, 문화, 토양, 헌신적인 인간의 노력과 진보한 과학 기술이 결합하여, 수퍼 투스칸 와인인 루체는 힘과 섬세함을 동시에 갖추며 깊은 루비색으로 잘 익은 과실의 풍요롭고 미묘한 향 바닐라 향,나무의 달콤한 향과 나무 딸기와 블랙 커런트 향을 느낄 수 있으며 탄닌은 매우 정교하며 입 안에 착착 달라붙는 촉감을 자랑하며 병속에서 숙성시 미묘함이 지속적으로 발전한다.
보르도 그랑 크뤼 클라쎄 2등급에 속하는 라스꼼브는 폴 로저 샴페인 하우스의 기술 이사직을 15년간 지낸 르네 바네텔이 와인 메이커로 부임해 퀄리티를 더욱 높였으며 포도밭의 규모가 커 다양하고 독창적인 포도밭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붉은 과실과 검은 과실, 에스프레소, 감초, 담뱃잎 등 여러 복합적인 향을 갖춘 와인.
샤또 라그랑쥬 17빈티지는 RP93, JS93점을 받고 비비노 4점을 기록하고 있는 쌩쥴리앙 그랑크뤼 3등급의 와인이며 다른 그랑크뤼 와인들에 비해 쥬시한 느낌을 갖고 있기도 하다 블랙베리, 블랙커런트 아로마와 오크, 가죽향도 함께 느낄 수 있고 장기숙성 후의 퍼포먼스를 기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드러운 보르도를 느껴보고 싶다면 강추하는 와인이다!
까테나 자파타의 오너, 니콜라스 까테나의 딸 아드리아나 까테나가 운영하는 와이너리 엘 에네미고의 와인은 품질과 특색에 대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아르헨티나 와인의 대표적인 브랜드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으며 그랑 에네미고는 고전 숙성방식으로 구현해낸 보르도 블렌딩과 아르헨티나 고산지대 떼루아의 완벽한 밸런스가 느껴지는 와인이다.
그랑크뤼 5등급의 벨그라브는 태양왕 루이 14세의 사냥터로 세워진 와이너리로 메독 지역에서도 가장 오래된 와인 중에 하나이다. 신의 물방울에서 <샐러리맨의 라뚜르>로 소개 되었고 세계적인 와인양조가 미셸 롤랑의 컨설팅과 최첨단 양조 기술의 사용을 통해 와인 품질이 향상되었다.
비노블 마르셀 쁘띠 와이너리는 쌩떼밀리옹과 까스띠용 꼬뜨 드 보르도 두 지역에 위치한 총 22헥타르의 포도밭을 관리하고 있고 쌩떼밀리옹에 위치한 포도밭은 그랑크뤼 등급으로 샤또 프랑과 엄블리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엄블리 와인은 고급스러운 와인으로 과실의 풍부함이 뛰어나며 입 안에서의 우아한 탄닌이 매력적인 와인이다.
샤또 꼬스 라보리는 오랜 역사와 분류, 고품질 와인 생산에 대한 헌신은 보르도 지역의 존경받는 유산 중 하나로 기여했으며, 코스\"라는 이름은 생트로페의 특징인 언덕 꼭대기나 언덕을 가리키는 \"코\"에서 유래되었다. 검은 과실의 풍미와 다크 초콜릿, 감초, 스모키한 자두향의 아로마를 선사하며, 오크와 담배, 가죽, 허브의 풍미가 뒤따르며 강건한 타닌과 함께 환실한 존재감을 보여준다. 단단하고 강건한 전형적인 생떼스테프 풀바디 와인의 특징을 고스란히 담은 와인
보르도 그랑 크뤼 클라세 3등급 와인으로 샤또 팔머, 브랑 깡뜨냑 등 다른 소유주들에게 여러 번 매각되며 와이너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현재 아버지인 데니스가 양조의 질을 높이면서 보르도 그랑 크뤼 클러셰 내 가격대비 좋은 퀄리티를 주고 있는 보르도 와인 중 하나입니다. 체리, 검은 자두 등 검은 과실향이 주를 이루고 부드러운 오크 풍미를 비롯해 복합미가 매력적인 보르도 레드 와인!
그랑 크뤼 5등급의 샤또 까망삭은 가성비로 그랑 크뤼 클라쎄를 즐길 수 있는 와인을 생산하며 세계적인 와인 컨설턴트 미셸 롤랑의 도움을 받아 와인의 품질 향상을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고 있다. 검붉은 과실향에 삼나무, 꽃향이 이어지며 바닐라, 가죽의 노트가 느껴지며 바디감과 타닌이 어우러져 전반적으로 무거운듯 하면서도 산미와 드라이감이 밸런스를 맞춰주어 완성도 있으며 신선한 피니쉬로 마무리되는 와인이다.
보르도 AOC 내 앙트레 뒤 메르에 위치하며 현재 3세대 와인메이커이자 오너인 Patrick Todesco는 각종 상을 휩쓸며 보르도 슈페리에가 보여줄 수 있는 최상의 퀄리티를 표현한다. 프렌치 오크에서 숙성, 검붉은 과실향과 토스트, 바닐라 등의 풍성한 아로마와 함께 부드러운 목넘김을 보여준다.
이태리 베네토 지방에서 1928년 창설된 카사 비니코라 보떼르는 전통을 기반으로 현대적인 감각과 혁신을 더한 차세대 주자이다. 그랑 피씨오네는 진한 보라빛 루비 레드를 띄며 으깬 블랙 베리, 블랙 체리 등의 농익은 과일향이 진하며 특히 자두와 말린 포도의 향이 매력적이다. 알코올은 단단한 구조감을 선사하며 산도와 탄닌의 밸런스가 훌륭하며 스파이시한 향과 바닐라 향과 입안을 매끄럽게 감싸는 텍스쳐가 긴 여운을 남기는 와인.